이사전 주의사항

이사전 주의사항을 알아볼까요?

20일~30일전  |

이사견적 예약과 계약

단, 혼수는 날이나 토 일요일은 한달 전 쯤 예약이 끝난다.

포장이사 이용시 식별요소는 회사 선택에 유의하도록 한다.

일주일 전  |

각종 공과금 신청가능 주소변경

유해폐기물 주소이전 신고

전화이전 신청(국번없이 100)

이삿날 도착시간 이사도착지 재확인

현관, 엘리베이터 청소요청

각종 공과금 정산(수도요금, 전기요금, 아파트관리비 납부)

택배 및 우편물 등 주소 변경 및 도착지 주소 재확인 주소이전 등록(신문사 등)

은행 주소이전 등록(카드사)

우편물 발송지 주소이전(카드, 가스, 보험사 등)

배달품 요청(신문, 우유 등)

3~4일 전  |

이사갈 집을 방문해 도면을 그려본다.

전기콘센트의 위치를 파악한다.

이사전 집의 청소, 벌레, 흠집상태 파악 후 필요시 도배공, 청소업체 계약한다.

관리사무소에 트럭차 또는 엘리베이터 사용을 예약한다.

자녀의 담임선생님에게 인사한다.

전입신고는 이사 후 14일 이내에 하도록 되어있으나 이사 전 미리 동사무소에 신고한다.

(가족 전출시 미성년 자녀와 동행 필수 / 면허증 자동차등록증 지역의료보험증 지참)

전출신고 및 엽비표 민방위 전입신고는 자동으로 처리된다.

불필요한 생활용품(옷, 신발, 가전, 취향) 쓰레기 분류 종량제 준비

하루 전  |

냉장고 음식을 정리

반려동물 챙기기 (하네스, 이동장 등 안전 확인)

TV안테나 가스시설 등 분리

청소도구, 청소용구, 구급, 공구 등 정리

도착지 사용물 지불 폐기물 배출

이사 직후 |

예약 해 둔 인테리어 가전제품 등 설치

초등학생은 거주지의 동사무소에서 (취학아동 전입통지서)를 받아 해당학교로 전달,

중학생은 전달 용 재학생증명서 준비해 학교로 제출,

고등학생은 이사한 주소의 주민등록등본을 띠어 교육청에 제출해 학교로 배정 받아 전학시킨다.

이사 후 주민등록지 이전은 이사간 주소지 동사무소에서 등장, 전세계약서, 전입신고 후 주민등록등본을 찾고 가서 이사할자에 대한 ‘확정일자인’ 을 받는다.

지역의료보험신고

자동차주소변경

floating-button-img